자격요건
우대사항
근무형태
주요업무
무슨일을 하나요?
어떤 프로젝트인가요?
P.M(Project Manager)과 다른점이 무엇인가요?
P.M(Project Manager) | P.P (Project Producer) | |
담당 업무 | 프로젝트 일정 관리(ONLY) | 프로젝트의 전반을 총괄 및 책임 |
필요한 역량 | 일정 관리, 문서 관리 | 기술적 검토 능력, 책임감,
소통 능력(고객 및 협력사 관리) |
P.P 업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더 필요해요
프로젝트 계획
프로젝트 준비
프로젝트 실행
1.
인쿼리 : 고객의 고통(니즈)을 파악한 후 및 컨셉을 설계해요.
2.
검토 : 원가를 검토하고 고객와 협의해요.
1.
설계 : 각 파트별로 (기계, 전기, 로봇, 비전 등)설계를 검토하고
도면 제작, 도면 출도 후 고객사와 협의해요.
2.
구매 : 필요한 구매품 발주 및 협력사 외주 요청 후 수행계획서를 작성하고 확인해요.
1.
제작 : 구매품 입고 및 관리를 하며, 협력사를 관리해요.(제작 진행)
2.
시운전 : 설비 시운전을 통한 검증 후 입회 검수를 진행해요.
3.
양산대응 : 설비 입고 및 설치 후, 시운전 진행을 통한 생산 환경을 구축해요.
4.
마무리 : FAC(파이널 미팅) 진행을 통해 프로젝트를 마무리해요.
(취급설명서 작성 및 납품, 문제점 조치 및 고객 요구사항 적용)
P.P업무를 통해 키울 수 있는 역량은 무엇인가요?
간접적인 경험도 크게 늘릴 수 있지만,
자주적인 성격을 띄고 있는 P.P로써 직접적인 기술 역량 습득도 가능해요.
35년 간의 설비 제작 경험을 토대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동시 구축하는 흔치 않는 역량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스마트 팩토리 역량을 더해 스마트 비즈니스의 영역까지 확장할 수 있어요.
프로젝트 총괄 경험을 통해 무전공/무경력의 신입사원도 P.P의 역량을 습득할 수 있어요.